본문 바로가기

Design

20120926 러시아 형식주의와 문화 기호학


[러시아 형식주의와 문화 기호학]
찰스 다윈: 진화론>실증주의: 문학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됨.

@European positivism.
-문학이란 삶이 반영되는것.
-아이디어의 규칙은 언어와 의미를 규정하는것.

@러시아 형식주의
-문학이 어떤 과정을 통해 창조되는가를 증명함.
-언어란 내포된 의미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하여 언어의 기호적 자율성을 지향한다고 봄 e.g.Poem
-언어의 기호적 자율성: 단어가 자진 의미가 사전적 내용을 넘어서 그 의미의 잠재력을 시를 통해 기호적 이미지로 형성될 떄 우리가 시 속의 단어를 통해 또 다른 의미를 발견하는 것과 같다.

-poem(시): 시의 창조적 기능은 언어에서 유추되는 기호적 이미지를 형성할 때 최고의 가치가 있고, 이러한 시의 이미지는 일반 산문의 추상적 분석의 경향을 극복하고 구체성과 통삽성을 갖게되면서 그 시를 수준 높게 만듣다고 믿음

>>러시아의 형식주의에는 소쉬르의 구조주의가 자리잡아 있음.

@블라디미르 프로프
민담형태론-슬라브의 마법담에 관한 연구
:기존의 민담연구가 기원과 발달과정에 중심을 둔 것에 반해서, 프로프는 구조조의적 관점에서 러시아 민담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여 민담에서의 기호적 이미지를 완성했다.

수렵시대 -목축시대 -농경시대
>>자연숭배
>>상징적 혹은 기호적 성격
: 20세기의 민담은 모두가 기호체계이다.
: 민담에는 sign&symbolic한 이미지의 관계가 보여진다.
: 민담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기호간의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.

@(joseph campbell, 종교신화 학자, 1904-1987의 '신화의 힘'과는 다른 계보..)
>>analayze the functional code.
>>롤랑바르트는 문화를 기호학과 연관시킨 첫번째 사례라고 극찬함.
>>문학의 깊이를 무시하고 기호의 분석에만 집중 했다라는 비판도 있음.
>>반지의 제왕은 '프로프'의 기호학으로 기반으로 극본을 씀.








' Design' 카테고리의 다른 글